메뉴 건너뛰기

XEDITION

핫이슈







무슨 한글교육과 보급에 더 영향을 미친게 일제였느니

일제가 보통학교등을 만들어서 교육을 한 목적이 조선민족의 일본화와 민족말살인데

초기에 한글교육 했다고 그걸 찬양하는

뜬금 별 개ㅈ같은 소리를 보고 팩트체크 함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https://book.naver.com/bookdb/text_view.nhn?bid=4900055#










일제 조선 교육령을 살펴보면

1차 1910~1922년
- 일본어 보급 목적
- 필수 과목 : 수신, 국어, 일본어, 한문
- 식민 초기라 반발을 우려 한글교육 포함

2차 1922~1938년
- 일본식 교육의 강화
- 한국인과 일본인을 따로 교육하여 차별

3차 1938~1943년
- 3대 교육방침
- 국체명징(천황 중심의 국가체제를 분명히 함)
- 내선일체(일본과 조선은 하나다)
- 인고단련(어려운것을 참고 여러번 반복하여 수양함)
- 국어교육 선택화를 통해 폐지
- 교육의 전시 체제화, 일본적인 것 강화, 철저한 황국시민 교육

4차 1943~1945년 (전시교육 체제)
- 교육을 전쟁 수행 도구로 사용
- 대륙 침약에 이용하는 병사의 준비와 관련해 의무교육화
- 근로 봉사, 군사훈련, 학도병 징병등 을 시행




일본의 지리와 일본역사를 필수교과로 설정하고

한국사와 한국지리 역시 선택과목과 폐지하고

조선어 사용금지령까지 내림

식민통치 초기에 자연스럽게 흡수시키려고 국어교육 좀 했던거 가지고

이런 일제시대 교육을 찬양?








오히려 한글은 조선후기에 서당과 향교, 한글소설 통해서 국민들에게 이미 쫙 보급되어 있었음




국립국어원 발췌
https://www.korean.go.kr/hangeul/supply/001.html


17, 18세기에 이르면 소설이 한글의 보급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당시 지배층은 중국에서 들어온 한문 소설을 탐독하는 이들이 많았다. 정통한 고문이 아니라 백화적인 요소가 많이 들어 있는 연애 소설, 통속 소설들이 많이 들어와서 사대부들 사이에 많이 읽혔고, 그런 글을 많이 읽은 사대부들은 자기가 쓰는 글에서 그런 소설의 문체를 사용하기도 하였다.(이것이 정조에게 문체반정의 빌미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이런 소설은 한글로 번역되어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도 많이 읽히게 되었다. 한글 소설은 초기에는 필사본으로 유포되다가, 상품 가치가 있기 때문에 방각본(상업적 출판물)으로도 많이 간행되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한글은 여성과 일반 백성들 사이에 널리 보급되었다. 어떤 시기에, 예를 들어 18세기나 19세기에 전 국민 중 몇 퍼센트가 한글을 읽고 쓸 수 있었는지 정확히 알기는 어렵다. 그러나 이 시기에 우리나라에서 한글로 읽고 쓸 줄 아는 국민의 비율은 당시의 서양에 비해 결코 낮지 않았던 듯하다. 병인양요 때 강화도에 왔던 프랑스 군인이 돌아가서 쓴 기록을 보면, 당시 조선의 일반 백성들의 집에 책이 많이 있다는 데에 놀라고 부러움 내지 열등감을 느꼈다는 대목이 있다. 당시 동아시아의 문화 수준이 유럽에 비해 결코 처지지 않았던 것이다.






한글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
https://book.naver.com/bookdb/text_view.nhn?bid=4900055#























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
On the education and spreading of Hunminjeongum

시정곤 ( Chung Kon Shi )

-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

- 발행년도 : 2007

- 간행물 : 우리어문연구, 28권 0호

- 페이지 : pp.33-65 ( 총 33 페이지 )

초록(한국어)

이 논문은 훈민정음이 일반백성에게 어떻게 교육되고 보급되었는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우리는 교화의 개념과 훈민정음의 상관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훈민정음이 일반백성을 교화하는 데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어리석은 백성은 교화의 대상이었고 지배계층은 교화의 주체였으므로 오히려 지배계층에서 훈민정음을 더 많이 알고 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둘째, 교육기관에서는 과연 훈민정음을 어떻게 가르쳤을까 하는 점을 고찰했다. 조선시대의 제도적인 교육기관인 향교와 서당을 중심으로 교육체계와 교재 등을 중심으로 훈민정음이 어떻게 교육되고 보급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조선 후기로 갈수록 서당의 수가 증가하고 교육대상이 확대되면서 평민계층은 물론 천민계층의 자제까지 훈민정음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사대부가의 경우 가정에서 훈민정음을 교육한 사례를 언급하면서, 사교육에서 훈민정음이 어떻게 교육되고 보급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여성의 경우 훈민정음이 중요한 의사소통의 수단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업적인 출판문화의 등장과 훈민정음의 보급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훈민정음은 한글소설을 낳고 다시 한글소설은 훈민정음을 보급시키는 상호작용을 통해 훈민정음이 일반백성에게 널리 보급되는 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강담사의 등장, 세책과 방각의 유통방식 등이 한글 보급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을 주장했다.

http://www.papersearch.net/thesis/article.asp?key=2630754






한글을 일제가 교육하고 보급했다는 별 개같은 소리를 하는게 과연 한국인일까 일본인일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814 뿔난 펭수 “총선 후보자들, 나랑 친한 척 마세요” 하우이슈 2019.12.23 5
5813 "대상이요? 글쎄요" KBS, 전현무♥이혜성에 무례‥시청자도 '불편' 하우이슈 2019.12.23 8
5812 드라마 스토브리그 명장면.gif 하우이슈 2019.12.23 8
5811 블랙 아이스 이정도였나요? 6 </span> 유머글 하우이슈 2019.12.23 4
5810 정경심 재판 참관기..뉴스에는 절대 안 나오는 이유 하우이슈 2019.12.23 3
5809 자식 하나가 좋은 이유.jpg 하우이슈 2019.12.23 9
5808 국회의원 추천 맛집 1 </span> 유머이미지 하우이슈 2019.12.23 15
5807 해운대 신개념 비키니.gif 하우이슈 2019.12.23 16
5806 진중권,동양대 사직 “나도 적폐의 일부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하우이슈 2019.12.22 3
» 한글 교육과 보급은 일제시대에 이뤄졌다? 하우이슈 2019.12.22 3
5804 베트남 호찌민 한국 교민 집에 강도..아내 사망·부녀 중상 하우이슈 2019.12.22 3
5803 日, 자국기업 한국내 매각시 더 피폐해질 것 하우이슈 2019.12.22 2
5802 강아지가 너무 입양하고 싶었던 자매.그러나`안 된다 하자 아이들의 반응 하우이슈 2019.12.22 3
5801 마누라 주말인데 같이 잘까 </span> 유머글 하우이슈 2019.12.22 13
5800 시부모님이 봐도 괜찮은 사진인가요?.jpg 하우이슈 2019.12.22 10
5799 촬영감독한테 혼난 배우를 위로해준 송강호.jpg 하우이슈 2019.12.22 4
5798 <후방>춘리 코스프레 4 </span> 기타 하우이슈 2019.12.22 7
5797 종부세 때문에 통곡하는 노부부.jpg 하우이슈 2019.12.22 8
5796 어제 시상식에서 어느 한 예능인의 여유.jpg 하우이슈 2019.12.22 14
5795 벤츠의 무리수.gif 5 </span> 기타 하우이슈 2019.12.22 11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