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유머

"주유소 영수증에 세금을 함께 표시하자."

국제 유가가 추락에 추락을 거듭하지만 휘발유 가격의 하락폭이 성에 차지 않아 불만을 토로하는 소비자들의 원성 때문에 주유소 업계서는 이런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우리나라 원유 수입량의 86%를 차지하는 중동산 석유의 기준유종인 두바이유는 올해 1월 배럴당 104달러에서 18일 현재 55달러로 떨어져 반 토막이 났다.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들이 산유량 감산불가 방침을 고집하면서 국제유가는 50달러대 중반, 나아가 40달러선까지 떨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렇다면 올해 1월 ℓ당 1천800원대였던 국내 휘발유 값도 반 토막이 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두바이유가 배럴당 40달러가 돼도 우리 휘발유 값은 ℓ당 1천300원대에 머물 전망이다.

18일 현재 전국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가는 ℓ당 1천646원이고, 1천500원대 주유소는 3천800여개, 1천400원대 주유소는 28곳이다.

소비자들은 "휘발유 값을 왜 더 빨리 내리지 않느냐"고 아우성이지만 세금이 발목을 잡고 있다.
지난주 휘발유 판매가 1천685.7원 가운데 세금이 약 900원으로 53.3%를 차지했다.

보통휘발유의 유류세는 교통세 529원이 고정이고, 교육세(교통세의 15%), 주행세(교통세의 26%), 부가세(세후 가격의 10%)로 구성된다.

두바이유 가격이 월평균 58달러였던 2009년 5월 국내 휘발유 가격은 1천542원, 월평균 40달러였던 2008년 12월에는 1천328원이었다.

환율을 달러당 1천100원, 유류세 등 각종 세금을 현재 시점에 맞춰 시뮬레이션을 해봐도 두바이유 가격이 40달러이면 국내 휘발유 값은 1천387원이 나온다.
국제 유가가 치솟아도, 바닥으로 떨어져도 세금이 고정돼 있다 보니 벌어지는 현상이다.

외환위기 전에는 휘발유 값이 ℓ당 700원∼800원대였지만 1997년 당시 두바이유 가격은 연평균 18달러에 불과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유소 업계에서는 "우리가 세금 징수기관이냐"는 볼멘소리가 나온다.

한국주유소협회 정상필 이사는 "휘발유 값에 세금비중이 절반을 넘다 보니 우리가 내린다고 내려도 소비자들은 만족하질 않는다"며 "지금 같은 때에는 차라리 주유소 영수증에 세금을 명시하자는 목소리가 커진다"고 말했다.

http://m.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69675.html
위로